발굴조사보고서

大邱 佳川洞古墳群Ⅰ 대구 가천동고분군Ⅰ

책수 : 44

발행일 : 2002.08

발행기관 : 재단법인 영남문화재연구원

페이지수 : 528

규격 : 4×6배판

조사위치 : 대구 수성구 가천동 산 18번지 일대

조사면적 : 약 4,600평

조사연유 : 대구선(동대구-청천)철도이설공사에 따른 사전조사

발굴조사자 : 박승규, 김창억, 박진, 이재흥, 윤선희, 윤온식

집필,편집 : 박승규, 김창억, 박진, 박현주

조회수 : 2,716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석곽묘 - 삼국시대 / 62기 / 유개고배, 대부장경호, 단경호, 대부완, 발형기대, 연질옹, 완, 시루,철촉, 마구류 등

개요

  大邱 佳川洞古墳群은 대구 東部와 慶山의 경계지점에 위치하며, 慶山 林堂洞古墳群, 大邱 蘆邊洞古墳群(또는 旭水洞古墳群)과 함께 이 지역의 주요 고분군 중의 하나이다. 유적의 북쪽으로는 琴湖江이 東에서 西로 흐르고 있으며, 금호강변에 위치하는 해발 76m 정도의 구릉 정상부와 남사며놔 서사면에 석곽묘가 집중 분포하고 있다. 또한 이 곳은 금호강변의 넓은 충적평야를 한눈에 굽어볼 수 있는 곳으로서 서쪽부분은 완만한 경사면이나 동단부는 단애를 이루는 동고서저의 지형이다.
이번 발굴조사의 대상은 대구선 철도이설구간(동대구~청천)에 포함되는 한정된 범위로삼국시대 고분군 지점과 통일신라 이후의 공방지 지점으로 나누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이번 조사의 삼국시대 고분군 지점에서는 석곽묘 204기, 석실묘 7기가 확인되었고, 통일신라 이후의 공방지 지점에서는 수혈유구와 주혈, 구상유구, 동물유체갱, 노지시설이 확인되었다. 삼국시대 고분군의 출토유물은 고배, 장경호를 비롯한 각종 토기류와 철기류, 경식, 이식등 약 3,500여점에 이르며, 공방지에서는 토기 및 자기류, 기와류, 동물유체가 출토되었다.
  본 『大邱 佳川洞 古墳群Ⅰ』보고서는 삼국시대 고분군 지점 중 가천마을 북쪽 산능선의 남사면과 서사면에 분포하고 있는 석곽묘 62기와 유물 850점을 대상으로 작성한 것으로서 대구 가천동고분군에 대한 1차 보고서이다.
  佳川洞古墳群에서는 대부분 竪穴式石槨墓가 조사되었는데 배치형태는 대부분 등고선 방향과 일치하나 이부 직교되거나 엇비슷하게 배치된 경우도 있으며, 枕向은 동향과 남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壁石의 축조방법은 현지에서 채취한 점판암제 판석을 수적이나 평적, 또는 수적과 평적을 혼용하여 쌓았고, 屍床은 점판암제 板石이나 잔자갈을 깐 경우와 굴착면을 흙으로 정지한 후 그대로 사용한 경우가 있다. 출토유물은 토기류가 가장 많으며 출토유물 중 人骨이 양호한 상태로 다량 확인되어 당시인의 體質이니ㅏ 形質을 硏究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古墳築造의 絶代年代에 대한 資料는 출토되지 않았으나, 주변 지역의 土器資料와 비교하거나 이반적인 土器編年案으로 볼 때, 5세기 후엽에서 6세기 중엽까지가 유적의 中心年代로 판단된다. 이번조사에서 확인된 다수의 遺構와 다량의 遺物은 이미 발굴조사 된 주변의 時至遺蹟, 林堂遺蹟과 함께 비교 검토한다면 당시 이 地域의 문화상을 밝히는데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재단법인 영남문화유산연구원 / 주소 : 39852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천평2길 43(천평리 221)
TEL : 054-971-8085 / FAX : 054-971-8083 / E-mail : ynicp@daum.net

copyright (c) 2016 ynicp.or.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