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수 : 246
발행일 : 2018.07.16
발행기관 : (재)영남문화재연구원
페이지수 : 485
규격 : A4변형판(210×284)
조사위치 : 경북 울진군 울진읍 읍남리 산54-1번지 일원
조사면적 : 5,500㎡
조사연유 : 울진 읍남리공동주택 신축에 따른 구제발굴
발굴조사자 : 박승규, 정창희, 남도인, 박영협, 장기명, 박정현
집필,편집 : 이석범, 남도인, 박영협, 권욱택, 장기명
조회수 : 981
[분묘유적]
청동기시대 - 주거지
삼국시대 - 석곽묘, 횡구식석실묘, 옹관묘, 구, 수혈, 의례유구
조선시대 - 토광묘
울진 읍남리 공동주택 신축부지 내 문화재 발굴조사는 총 면적 5,500㎡이다. 본 유적은 울진 읍남리고분군의 일부로서 동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 말단부에 위치한다. 삼국시대 석실·석곽묘가 중심이 되는 분묘유적으로 일부 삭평되고 교란되었으나 하단시설과 내부 출토유물이 양호하게 남아있다. 출토유물로 볼 때 동일집단이 일정기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고, 고분군의 조영 시기는 5세기 중후엽에서 7세기 전엽을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물 구성은 토기류가 대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무기류, 장신구류, 농구류와 마구류가 뒤를 잇는다. 토기류는 유개고배, 개, 고배, 배, 유개대부완, 대부완, 파배, 연질발, (유개)대부장경호, (유개)직구호, 단경호, 시루 등이 확인된다. 이 중 출토 수량이 가장 많은 기종은 배로 두상의 부장공간에 2~3점이 겹쳐진 상태로 출토되고 있다. 그리고 개와 고배는 뒤집히거나 넘어진 상태로 다수가 출토되었다. 고배와 개는 분묘 별로 수량이 거의 동일하여 매납 당시에는 유개고배 세트로 부장된 것으로 판단된다. 유물은 총835건 863점이 출토되었다. 삼국시대 울진지역은 지정학적으로 해안으로는 울릉도와 직선거리 가장 가까운 지역이고 내륙으로 보면 경주 에서 강릉으로 올라가는 해안선과 내륙방향으로 영주와 안동으로 올라가는 교통의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그 리고 울진지역의 대단위 고분군인 덕천리고분군과 좋은 비교자료가 될 수 있다. 두 고분군의 비교를 통해 당대의 울진지역 정치체의 모습을 밝히는데 좋은 자료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재단법인 영남문화유산연구원 / 주소 : 39852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천평2길 43(천평리 221)
TEL : 054-971-8085 / FAX : 054-971-8083 / E-mail : ynicp@daum.net
copyright (c) 2016 ynicp.or.kr. all right reserved.